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I
- JPA
- AWS
- mirror maker2
- consumer
- topic생성
- offsetdatetime
- centos7
- mysql
- transactionaleventlistener
- producer
- QueryDSL
- Spring JPA
- K8s
- API
- Streams
- bean
- spring kafka
- Spring Data JPA
- CodePipeline
- Kotlin
- spring
- PAGING
- Entity
- kafka
- git
- cd
- entity graph
- Kubernetes
- ECS
- Today
- Total
Yebali
Spring의 Filter와 Interceptor 본문
필터(Filter)란?
필터(Filter)는 J2EE표준 스펙 기능으로 디스패처 서블릿(Dispatcher Servlet)에 요청이 전달되기 전/후에 url 패턴에 맞는 모든 요청에 대해 부가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스프링 컨테이너가 아닌 톰캣과 같은 웹컨테이너에 의해 관리가 되므로 디스패처 서블릿으로 가기 전에 요청을 처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와 자원 사이에는 1개의 필터가 존재하지만, 여러 개의 필터가 모여 필터 체인(Filter Chain)을 형성하기도 한다.
또한 필터는 요청/응답 정보를 변경하는 역할뿐 아니라 흐름을 변경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필터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필터 체인의 다음 단계에 보내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자원의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할 수도 있다.
필터의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 인증이나 권한 체크와 같은 곳에서 사용 가능하다.
인터셉터(Interceptor)란?
인터셉터(Interceptor)는 J2EE 표준 스펙인 필터(Filter)와 달리
Spring이 제공하는 기술로써, 디스패처 서블릿(Dispatcher Servlet)이 컨트롤러를 호출하기 전과 후에 요청과 응답을 참조하거나 가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웹 컨테이너에서 동작하는 필터와 달리 인터셉터는 스프링 컨텍스트에서 동작을 하는 것이다.
디스패처 서블릿은 핸들러 매핑을 통해 적절한 컨트롤러를 찾도록 요청하는데, 그 결과로 실행 체인(HandlerExecutionChain)을 돌려준다. 그래서 이 실행 체인은 1개 이상의 인터셉터가 등록되어 있다면 순차적으로 인터셉터들을 거쳐 컨트롤러가 실행되도록 하고, 인터셉터가 없다면 바로 컨트롤러를 실행한다.
인터셉터는 스프링 컨테이너 내에서 동작하므로 필터를 거쳐 프론트 컨트롤러인 디스패처 서블릿이 요청을 받은 이후에 동작하게 된다.
필터(Filter)와 인터셉터(Interceptor)의 차이
필터와 인터셉터는 각각이 관리되는 컨테이너와 Request/Response의 조작가능 여부가 다르고, 그에 따라 용도가 다르다.
필터에서는 스프링과 무관하게 전역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작업들을 처리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보안과 관련된 공통 작업이 있다. 필터는 인터셉터보다 앞단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전역적으로 해야하는 보안 검사(XSS 방어 등)를 하여 올바른 요청이 아닐 경우 차단을 할 수 있다. 그러면 스프링 컨테이너까지 요청이 전달되지 못하고 차단되므로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필터는 이미지나 데이터의 압축이나 문자열 인코딩과 같이 웹 애플리케이션에 전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을 구현하기에 적당하다. Filter는 다음 체인으로 넘기는 ServletRequest/ServletResponse 객체를 조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Interceptor보다 훨씬 강력한 기술이다.
인터셉터에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관련되어 전역적으로 처리해야 하는 작업들을 처리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인증이나 인가와 같이 클라이언트 요청과 관련된 작업 등이 있다. 이러한 작업들은 컨트롤러로 넘어가기 전에 검사해야 하므로 인터셉터가 처리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인터셉터는 필터와 다르게 HttpServletRequest나 HttpServletResponse 등과 같은 객체를 제공받으므로 객체 자체를 조작할 수는 없다. 대신 해당 객체가 내부적으로 갖는 값은 조작할 수 있으므로 컨트롤러로 넘겨주기 위한 정보를 가공하기에 용이하다. 예를 들어 JWT 토큰 정보를 파싱해서 컨트롤러에게 사용자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우리는 다양한 목적으로 API 호출에 대한 정보들을 기록해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HttpServletRequest나 HttpServletResponse를 제공해주는 인터셉터는 클라이언트의 IP나 요청 정보들을 포함해 기록하기에 용이하다.
출처: https://velog.io/@ysm103408/Spring-filter%EB%9E%80, https://mangkyu.tistory.com/173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Collection 조회 성능 비교 (0) | 2022.12.25 |
---|---|
[Spring] 테스트에서 Static 메소드 Mocking하기 (0) | 2022.09.24 |
Join의 종류와 QueryDsl (0) | 2021.11.01 |
QueryDSL in Kotlin (0) | 2021.10.31 |
Spring JPA의 Cache (0) | 2021.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