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Kubernetes
- mirror maker2
- producer
- CI
- Kotlin
- spring
- kafka
- cd
- entity graph
- topic생성
- Spring Data JPA
- offsetdatetime
- Spring JPA
- transactionaleventlistener
- ECS
- centos7
- PAGING
- bean
- consumer
- JPA
- git
- CodePipeline
- Entity
- AWS
- Streams
- mysql
- QueryDSL
- spring kafka
- API
- K8s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Pinpoint (1)
Yebali
k8s 환경에서 pinpoint 적용하기 (feat. NCP)
pinpoint란? Pinpoint는 대규모 분산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고 문제를 진단/처리하는 플랫폼으로 네이버에서 2012년 7월에 개발을 시작해 2015년 1월 9일에 오픈소스로 공개한 프로젝트이다. 갓영한 선생님께서도 추천하는 모니터링 프로그램이기도 하다. Collector 설정 각 서버들이 보내는 지표를 수집하는 서버를 Collector라고 한다. 직접 Collector를 설치하는 방법도 있지만 여기서는 Naver Cloud Platform을 사용해 간단히 만들었다. https://www.ncloud.com/product/applicationService/pinpoint NCP에서는 Collector 서버를 Repository라고 부르는 듯하다. Collector 설정은 이게 끝이다. Agent..
Backend Common
2023. 12. 31. 0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