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ECS
- API
- Spring JPA
- consumer
- JPA
- mysql
- git
- producer
- Streams
- QueryDSL
- Kotlin
- PAGING
- topic생성
- cd
- Entity
- Kubernetes
- K8s
- Spring Data JPA
- kafka
- centos7
- spring kafka
- mirror maker2
- entity graph
- CodePipeline
- AWS
- offsetdatetime
- CI
- bean
- transactionaleventlistener
- spring
Archives
- Today
- Total
Yebali
EC2 인스턴스 가상메모리 추가하기 본문
EC2 인스턴스를 사용하다 보면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이런 문제는 가상 메모리를 추가하여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AWS 공식 문서에 나온 가상 메모리 추가 방법을 알아보자.
- 스왑 파일 생성하기
'dd' 명령을 사용하여 루트 파일 시스템에 스왑 파일을 생성한다. 'bs'는 블록의 크기이고 'count'는 블록의 수이다.
스왑 파일의 크기는 '블록 크기x블록 수'이다. 이 값들을 조정하여 원하는 스왑 파일의 크기를 결정한다.
# 이 예제의 스왑 파일은 4GB(128M x 32)이다 sudo dd if=/dev/zero of=/swapfile bs=128M count=32
- 스왑 파일의 읽기 쓰기 권한 업데이트 하기
sudo chmod 600 /swapfile
- Linux 스왑 영역 설정하기
sudo mkswap /swapfile
- 스왑 공간에 스왑 파일을 추가하기
sudo swapon /swapfile
- 프로시저가 성공적인지 확인하기
sudo swapon -s
만약 재부팅하더라도 가상 메모리를 유지하려면 '/etc/fstab' 파일을 편집하면 된다.
- 편집기에서 파일 열기
sudo vim /etc/fstab
- 파일 끝에 다음 줄을 새로 추가하기
/swapfile swap swap defaults 0 0
참조 : https://aws.amazon.com/ko/premiumsupport/knowledge-center/ec2-memory-swap-file/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odePipeline으로 ECS 배포하기 (0) | 2024.11.04 |
---|---|
AWS ECS 구축하기 (근데 이제 ALB를 곁드린...) (0) | 2024.11.04 |
EC2 Linux Java 11 설치하기 (0) | 2022.01.31 |